전체 글 139

C언어 13 - 1 문자열 입출력 라이브러리

용어체크 1. 널(NULL) 문자 문자열의 끝을 표시하는 문자 \0 2. 문자열 상수 'HelloWorld'와 같이 프로그램 소스 안에 포함된 문자열 3. EOF(End Of File) 문자 입력의 끝을 나타내는 문자 보통 -1로 정의 콘솔에서 Ctrl+Z 를 누르면 입력됨 학습내용 1. 문자와 문자열 2. 문자 입출력 라이브러리 3. 문자열 입출력 라이브러리 문자열 입출력 라이브러리 실습 학습목표 1. 문자와 문자열을 알고, 설명할 수 있다. 2. 문자 입출력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다. 3. 문자열 입출력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다. C언어에서 A, ‘A’, “A”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A는 변수의 이름이고, ‘A’는 문자, “A”는 문자열을 나타냅니다. ‘A’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1바이트가 필요..

시스템프로그래밍 11 - 2 링커와 로더의 기능

용어체크 1. 링크(Link) 서로 다른 모듈 사이의 상호 외부 기호를 참조 즉 기호들에 주소 번지를 할당하여 각 모듈들을 연결 및 적재 모듈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2. 재배치(Relocation) 적재될 주소가 결정되면 수정되어야 할 기호들을 재배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3. 적재(Load) 재배치가 완료된 적재 모듈을 주기억장치로 읽어 들이는 것을 의미한다. 학습내용 링커와 로더의 기능 링커와 로더의 역할 학습목표 링커와 로더의 기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링커와 로더의 역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어셈블러나 컴파일러는 원시 프로그램을 번역해준다. 이때 원시 프로그램은 모듈 즉 여러 개의 목적 모듈들로 번역하게 되는데 실행할 수 있도록 작업하는 시스템 프로그램을 무엇이라 하는가? 여러 모듈을 한..

시스템프로그램 11 - 1 단일 패스 어셈블러

용어체크 1. 전향 참조 전향 참조는 어떤 기호가 정의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호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 Move AX,FIVE … 처럼 FIVE라는 기호가 정의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호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FIVE는 나중에 정의된다. 2. 단일 패스 단일 패스는 원시 프로그램을 한 번만 읽어서 처리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3. 이중 패스 이중 패스는 전향 참조를 해결하기 위해 원시 프로그램을 두 번 읽어서 처리하는 방법이다. 학습내용 단일 패스 어셈블러 단순 전향참조 처리 다수 전향참조 처리 학습목표 단일 패스 어셈블러의 단순 전향참조 처리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다수 전향참조 처리를 설명할 수 있다. 기호를 참조하는 방향에 따라서 기호 참조 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그리고 어셈..

디지털공학개론 12 - 2 기타 시프트 레지스터

용어체크 1. 양방향 시프트 레지스터 데이터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 레지스터 2. 시프트 레지스터 카운터 특별한 순서를 만들기 위하여 직렬 출력을 직렬 입력에 연결하여 만든 기본적인 시프트 레지스터 3. 링카운터 최종단 플릡플롭 출력(Q)을 처음단 플립플롭 입력으로 단순 피드백 결합된 회로 구조 학습내용 1. 양방향 시프트 레지스터 2. 시프트 레지스터 카운터(존슨 카운터) 3. 시프트 레지스터 카운터(링 카운터) 학습목표 1. 양방향 레지스터의 동작을 설명할 수 있다. 2. 존슨 카운터의 동작을 설명할 수 있다. 3. 링 카운터의 동작을 존슨 카운터와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링카운터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해보세요. 링 카운터는 각 순서의 상태에서 하나의 플립플롭을 사용합니다. 이 카운..

디지털공학개론 12 - 1 기본 레지스터

용어체크 1. 레지스터(register) 데이터 저장과 데이터 이동의 두 가지 기본 기능을 갖는 디지털 회로 2. 직렬입력-직렬출력 (Serial Input-Serial Output) 데이터를 직렬로 입력하여 직렬로 출력하는 레지스터 3. 병렬입력-병렬출력 (Parallel Input-Parallel Output) 데이터를 병렬로 입력하여 병렬로 출력하는 레지스터 학습내용 1. 기본 시프트 레지스터의 동작 2. 직렬입력-직렬출력, 직렬입력-병렬출력 레지스터 3. 병렬입력-직렬출력, 병렬입력-병렬출력 레지스터 학습목표 1. 기본 시프트 레지스터의 동작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2. 직렬입력-직렬출력, 직렬입력-병렬출력 레지스터의 동작을 설명할 수 있다. 3. 병렬입력-직렬출력, 병렬입력-병렬출력 레지스터의 ..

디지털공학개론 11 - 2 순서논리회로의 설계 및 분석

용어체크 1. 상태도 입출력 및 상태변화를 일목요연하게 보여주는 그림으로 플립플롭(기억소자)의 논리상태의 변환을 그림으로 보여줌 2. 무어머신 (Moore machine) 순서논리회로의 출력이 플립플롭의 현재 상태에만 의존적인 함수회로 3. 밀리머신 (Mealy machine) 출력이 현재 상태와 입력에 의존적인 함수회로 학습내용 1. 순서논리회로의 설계 2. 순서논리회로의 분석 학습목표 1. 순서논리회로의 단계별 설계과정을 설명하고, 설계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2. 순서논리회로의 단계별 분석과정을 설명하고, 분석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순서논리회로를 설계할 때 플립플롭의 수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해보세요. 순서논리회로를 구성하는 플립플롭의 수는 회로의 모든 가능한 상태에 대한 경우의 수에 따라 결정됩..

디지털공학개론 11 - 1 SR 플립플롭과 응용

용어체크 1. 순서논리회로 (Sequential Logic Circuit) 현재의 입력값과 이전 출력상태에 따라 출력값이 결정되는 논리회로 2. SR래치회로 S(set) 및 R(reset)으로된 2개의 입력과 Q 및 Q′로된 2개의 출력으로 구현하는 회로 3. 클럭형 플립플롭 클록펄스가 1인 상태에서 모든 동작이 수행 학습내용 1. SR플립플롭회로 2. D플립플롭회로, T플립플롭회로 3. JK플립플롭회로 학습목표 1. SR플립플롭회로의 개념과 동작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D플립플롭회로, T플립플롭회로의 개념과 동작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3. JK플립플롭회로의 개념과 동작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에지트리거 플립플롭은 어느 때 동작을 하게 되나요? 에지트리거 플립플롭은 클록이 0에서 1로, 1에..

디지털공학개론 9 - 2 기본 연산 회로

용어체크 1. 가산기 덧셈 연산을 수행하는 논리 회로이며 디지털 회로, 조합 회로의 하나 2. 반가산기 두 개의 2진자리를 입력 받아 합의 비트(sum)와 올림수비트(carry)를 발생하는 회로 3. 전가산기 두 개의 입력비트와 입력캐리를 입력 받아 합의 출력과 출력캐리를 생성 학습내용 1. 가산기 2. 감산기 학습목표 1. 반가산기와 전가산기의 개념과 동작을 설명하고 회로를 설계할 수 있다. 2. 반감산기와 전감산기의 개념과 동작을 설명하고 회로를 설계할 수 있다. 전가산기와 반가산기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반가산기는 두 개의 2진자리를 입력받아 합의 비트(sum)와 올림수비트 (carry)를 발생하는 회로입니다. 전가산기는 두 개의 입력비트와 입력캐리를 입력받아 합의 출력과 출력캐리를 생성합니다. 전..

네트워크 12 - 2 네트워크 보안을 위한 접근제어 목록 2

용어체크 1. Standard ACL Standard ACL은 표준 ACL이라고도 불리며, 표준 ACL은 출발지의 주소만 정의하기 때문에 여러모로 단점이 많다. ACL은 트래픽을 제어하거나 정의하는 기능이 있는데, Standard ACL의 경우는 트래픽 제어보다는 정의하는데 그 쓰임새가 많다. 2. Extended ACL Extended ACL은 확장 ACL이라고도 불리며, 확장 ACL은 출발지 주소, 목적지 주소, 포트번호를 기반으로 패킷을 전달하거나 전달하지 않도록 한다. Standard ACL에 비해서 더 세밀하게 패킷을 선택할 수 있다. 3. ACL 문장의 중간 삽입 숫자를 기반으로 하는 표준 ACL 이나 확장 ACL의 경우, ACL 문장을 작성하고 난 후에, ACL 문장의 중간 삽입이 되지 않는..

네트워크 12 - 1 네트워크 보안을 위한 접근제어 목록 1

용어체크 1. ACL 라우터는 출발지 주소와 목적지 주소를 참고하여 라우팅 테이블을 기초해 패킷을 전달 하는 장치이며, ACL은 이러한 주소를 기반으로 하여 만든 패킷 출입 통제 문장이다. ACL을 이용하면 IP 주소 기반으로 패킷의 전달 여부를 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패킷을 전달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패킷 필터링(Packet Filtering)이라고 한다. 즉 ACL은 L3 장치인 라우터를 기반으로 패킷 필터링을 하는 것이다. 2. Standard ACL ACL을 사용하여 라우터에서 패킷 필터링을 수행할 때, 출발지의 IP 주소만을 확인하는 방식을 말한다. 그러나 IP 주소를 막을 경우, IP 주소를 기반으로 하는 모든 통신이 막히게 되는 결과를 가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