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39

디지털공학개론 13 - 2 동기식 카운터와 카운터의 설계

용어체크 1. 동기 (synchronous) 서로 일정한 시간 관계를 갖는 사건들을 의미 2. 동기카운터 (synchronous counter) 카운터 내부에 있는 모든 플립플롭이 공통의 클럭펄스에 의해 동시에 상태가 변하는 카운터 학습내용 1. 동기식 카운터의 개념 2. 2비트, 3비트 동기식 2진 카운터 3. 카운터의 설계 학습목표 1. 동기식 카운터의 개념을 비동식 카운터와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2. 2비트, 3비트 동기식 2진 카운터회로의 구성과 특징을 비동식 카운터와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3. JK플림플롭을 사용하여 간단한 카운터회로 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비동기식 카운터와 동기식 카운터를 비교하여 설명해보세요.플립플롭에서 출력은 입력의 변화에 즉각적으로 변하지 못하므로 전파지연이 ..

네트워크 13 - 2 IPv6 및 IPv6 Routing

용어체크 1. IPv6 IPv6는 128비트의 크기와 16진수를 사용하여 주소를 표현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이 나온 이유는 기존의 IPv4 주소가 부족하여서 이를 해결할 방법을 찾기 위해서 나온 것인데요, 2128개의 주소를 가지고 있는 IPv6는 현재 IPv4의 유일한 대한으로 평가 받고 있으며, 실제 네트워크에서도 많이 사용하고 있는 주소 입니다. 2. RIPng RIPng는 IPv6주소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RIP이라고 이해해주시면 된다. 동작 방식은 IPv4와 별반 다르지 않지만, IPv6 주소의 특징에 의해서 약간씩 틀린 부분도 있다. 3. OSPFv3 OSPFv3은 IPv6주소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OSPF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OSPF는 표준 라우팅 프로토콜로써, 현재 IPv4에서 중요하게 다루..

C언어 13 - 2 문자열 처리 라이브러리

용어체크 1. 토큰(token) 문법적으로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기본적인 언어 요소 문장에서 공백 문자로 분리된 단어들 2. 문자열 처리 라이브러리 문자열 이어 붙이기 문자열 서로 비교하기 등 3. 문자 관련 처리 라이브러리 문자들을 검사하는 함수 대문자를 소문자로 변환시키는 함수 등 학습내용 1. 문자 처리 라이브러리 2. 문자열 처리 라이브러리 3. 문자열의 수치 변환 문자열 처리 라이브러리 실습 학습목표 1. 문자 처리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다. 2. 문자열 처리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다. 3. 문자열의 수치 변환을 할 수 있다. 등의 헤더 파일을 반드시 포함해야 할까요? Isalpaha(), isupper() 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함수에 대한 정의를 포함하고 있는 를 반드시 포함해..

컴퓨터시스템 13 - 1 통신 명령어 익히기

용어체크 1. 단말기 이용자가 컴퓨터와 직접 의사를 소통할 수 있는 장치 단말기는 이용자가 명령어나 입력자료를 새길 수 있도록 자판이 있어야 하고 산출결과를 표시할 수 있는 모니터나 프린터 같은 수단이 있어야 함 2. POP3 메일 클라이언트가 메일을 사용자 자신의 PC로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 현재 대부분의 메일 서버에서는 POP3을 사용하고 있음 3. SMPT 인터넷 상에서 전자 메일을 전송할 때 쓰이는 표준적인 프로토콜 메일 사이에서 발생하는 것을 전송해 주는 프로토콜로 인터넷에서 이메일을 교환할 때 그 과정을 정렬해줌 학습내용 1. 사용자간 직접 통신 2. 이메일 보내기 학습목표 1. 호스트 및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write, wall, talk, mesg 명령어를 이용하여 통신..

컴퓨터그래픽 13 - 1 그림자와 스케치업 모델링하기

용어체크 1. 셰이드 (Shade) 그림자를 뜻하는 섀도우(Shadow)와 구별 상대적으로 단순한 연산으로 매우 사실적인 그림자 효과 2. 그림자 (Shadow) 그림자가 있음으로써 물체의 위치와 배치가 좀더 사실적이 됨 3. 지면 그림자 (Ground Shadow) 투상 그림자(Projection Shadow)라고도 함 바닥에 투상된 그림자만 고려함 학습내용 1. 그림자 개요 2. 그림자의 표현 3. 스케치업 Rotate 기능 4. 스케치업 물체 모델링 스케치업 Rotate 기능 사용하기 스케치업 물체 모델링하기 학습목표 1. 그림자의 종류와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2. 그림자의 표현 방법에 대해 나열할 수 있다. 3. 스케치업의 Rotate 기능을 사용하여 드로잉할 수 있다. 4. 스케치업에서 물체..

정보통신개론 13 - 1 뉴미디어

용어체크 1. 미디어 사람 사이에서 지식이나 감정, 의사를 전달하는 정보 전달 수단이다. 신문/잡지(활자 미디어), 라디오, TV(전파 미디어), 비디오(비디오 미디어) 등 특히 전파 미디어는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컴퓨터 가상공간의 등장으로 제3의 미디어로 확실하게 자리 잡았다. 2. 멀티미디어 여럿을 의미하는 멀티(Multi)와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를 뜻하는 미디어(Media)의 합성어이다. 문자(텍스트), 그림(그래픽), 영상(비디오), 음향(오디오) 등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 종합정보매체이다. 3. 뉴미디어 정보를 전달하고 처리하며 보존하는 수단인 기존 미디어에 신기술을 도입하여 새롭게 개발한 미디어이다. 학습내용 미디어와 정보통신 통신분야의 뉴미디어 방송분야의 뉴미디어 패키지 분야의 뉴미디어 학습목..

인터넷활용 13 - 1 반응형 웹 페이지 제작

용어체크 1. 반응형 웹 디자인 웹 사이트의 내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다양한 화면 크기에 맞게 웹 사이트를 표시하는 방법 2. 미디어 쿼리 사이트에 접속하는 기기별로 적용할 CSS 파일을 다르게 지정해 주는 기술 각 기기마다 서로 다른 레이아웃을 표시할 수 있음 3. 뷰포트 PC 화면과 모바일 화면의 픽셀 표시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모바일 화면에서 의도한대로 표시되지 않으므로, 뷰포트를 지정하면 기기 화면에 맞춰 확대/축소해서 내용을 표시할 수 있음 학습내용 1. 반응형 웹의 개념 2. 뷰 포인트 3. 미디어 쿼리 뷰포인트와 미디어 쿼리를 이용하여 테스트 기기별 페이지 크기 변경하기 학습목표 1. 반응형 웹에 대해서 설명 할 수 있다. 2. 뷰 포인트와 미디어 쿼리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반응형 웹 ..

시스템프로그래밍 13 - 1 인터프리터와 컴파일러 개요

용어체크 1. 인터프리터 원시 프로그램을 줄 단위로 입력 받아 바로 해석하고 실행하는 번역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2. 컴파일러 원시 프로그램을 일괄적으로 번역하여 목적 프로그램인 실행 파일을 생성하는 프로그램으로 각 언어마다 다르고 컴퓨터 시스템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3. 토큰 Token으로 일련의 문자열을 구분할 수 있는 단위이다. 원시 프로그램의 한 문장을 읽어 들여 그 문장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의미하며, 컴파일러에서는 구성요소들 상수, 변수 이름, 연산자, 지정어 등을 토큰이라 부른다. 학습내용 인터프리터 기능 및 구조 프로그래밍 언어 개요 컴파일러 개념 및 컴파일 5단계 학습목표 인터프리터 기능과 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 언어의 종류 및 번역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

디지털공학개론 13 - 1 비동기식 카운터

용어체크 1. 비동기식 카운터 (asynchronous counter) 공통의 기준 클럭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카운터 내의 플립플롭은 동시에 상태를 변경하지 않는 카운터 2. 전달시퀀스 (truncated sequence) 카운터의 순차에서 상태의 수가 2n보다 작은 상태를 갖도록 설계한 형태 학습내용 1. 비동기식 카운터의 개념 2. 2비트, 3비트 비동기식 2진 카운터 3. 비동기식 10진 카운터 학습목표 1. 비동기식 카운터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2. 2비트, 3비트 비동기식 2진 카운터회로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3. 비동기식 10진 카운터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비동기식 4진(mod-4)카운터와 16진(mod-16)카운터의 사용될 플립플롭 개수에 대해 설명해보세요. 플립..

네트워크 13 - 1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및 PAT(Port Address Translation)

용어체크 1. 동적 NAT 동적 NAT는 사설 IP 주소와 공인 IP 주소를 1:1로 할당 하는 방법으로 주소를 변환시키는 기술이다. 그러나 사설 IP 주소 만큼 공인 IP 주소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고, 공인 IP 주소가 충분하면 굳이 IP 주소 변환을 해야 할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효율적이지는 못한 방법이긴 하나, NAT 테이블의 변환 정보를 관리자가 직접 지정하고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 정적 NAT 정적 NAT는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로 변화 하는 기술이며, 동적 NAT와 달리 1:1로 변환 하는 방식은 아니다. 사설 IP의 개수가 공인 IP의 개수보다 많다고 하더라도, 모든 사설 IP를 가진 장치가 외부와 통신하지 않는다면 외부와의 통시에 문제가 없다. 그러나 외부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