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공학/정보통신개론 11

정보통신개론 14 - 2 최신정보통신 기술과 서비스 2

용어체크 1. 빅데이터 굉장히 많은 양의 데이터에서 빠르게 정보를 추출 및 분석하여 가치 있는 정보를 발견하는 기술이다. 다루는 데이터는 어마어마한 대량의 정형 또는 비정형 데이터이다. 대규모 데이터의 수집·저장·관리·분석 기술이 필요하다. 2. 5G 이동통신 4세대 이동통신(LTE)보다 1,000배 빠른 기술이다. 2020년에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5G를 통해 실현될 핵심 서비스는 사물인터넷(IoT)이다. 3. 사물인터넷 각종 사물에 컴퓨터 칩과 통신 기능을 내장해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사물끼리 정보를 주고받기 위하여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있는 사물 공간 연결 망이다. 학습내용 빅데이터 컴퓨팅 기술과 서비스 5G 이동통신 기술과 서비스 사물인터넷 기술과 서비스 학습목표 빅데이터 컴퓨팅..

정보통신개론 14 - 1 최신정보통신 기술과 서비스 1

용어체크 1. 유비쿼터스 라틴어 유비크(Ubique)에서 나온 용어로, ‘언제 어디서나 동시에 있다’는 뜻이다. 모든 사물에 칩을 넣어 어느 곳에서든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컴퓨팅 환경이다. 2. 그린 IT 저탄소 녹색성장의 기반 기술 중 하나가 IT인데, 이것을 그린IT(Green IT) 라고 한다. 3. 클라우드 컴퓨팅 개인의 컴퓨터나 기업의 응용 서버 등이 대규모의 컴퓨터 집합을 클라우드(Cloud of Computers)로 옮겨간 형태의 네트워크이다. 각종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를 인터넷과 연결된 중앙 컴퓨터에 저장 필요할 때마다 컴퓨터나 스마트폰 같은 단말기로 접속하여 데이터를 내려받아 사용하고 다시 업로드하는 방식이다. 사용 목적에 따라 공용 클라우드와 사설 클라우드로 나뉜다. 학습내용 유비쿼터..

정보통신개론 13 - 2 융합서비스와 소셜미디어

용어체크 1. 멀티미디어 통신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를 미디어라 하고 문자, 도형, 음향, 이미지, 동영상 등 복합 미디어를 멀티미디어라고 한다. 멀티미디어를 연속해서 송수신하는 통신을 멀티미디어 통신이라고 한다. 2. 소셜미디어 인터넷이나 모바일을 기반으로 여러 사람들이 자신의 생각, 관점, 경험, 의견 등을 공유하기 위해 만든 온라인 미디어 플랫폼이다. 집단지능(Collective Knowledge)으로부터 사회적 관계 맺기, 평판, 추천 등을 통해 정보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보한다. 사용자들은 콘텐츠를 소비하는 동시에 생산하는 프로슈머(Prosumer)로 변모한다. 3. QoS 서비스 제공자가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품질 음성이나 영상 등을 전송하는 도중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정보통신개론 13 - 1 뉴미디어

용어체크 1. 미디어 사람 사이에서 지식이나 감정, 의사를 전달하는 정보 전달 수단이다. 신문/잡지(활자 미디어), 라디오, TV(전파 미디어), 비디오(비디오 미디어) 등 특히 전파 미디어는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컴퓨터 가상공간의 등장으로 제3의 미디어로 확실하게 자리 잡았다. 2. 멀티미디어 여럿을 의미하는 멀티(Multi)와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를 뜻하는 미디어(Media)의 합성어이다. 문자(텍스트), 그림(그래픽), 영상(비디오), 음향(오디오) 등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 종합정보매체이다. 3. 뉴미디어 정보를 전달하고 처리하며 보존하는 수단인 기존 미디어에 신기술을 도입하여 새롭게 개발한 미디어이다. 학습내용 미디어와 정보통신 통신분야의 뉴미디어 방송분야의 뉴미디어 패키지 분야의 뉴미디어 학습목..

정보통신개론 10 - 2 위성통신

용어체크 1. 저궤도 위성 LEO: Low Earth Orbit(저궤도 위성) 휴대전화의 국가간 장벽을 허물고 하나의 통화권으로 묶기 위한 목적이다. 음성 전화, 무선 호출,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고도(320Km – 1126Km) 2. 정지 궤도 위성 GEO: Geostationary Earth Orbit(정지 궤도 위성) 지구로부터 35800Km 상공에서 지구를 1회전하는데 24시간이 소요되어 지구의 자전주기와 일치한다. 지구 면적의 43%를 커버할 수 있다. 3. 상향링크/하향링크 상향 링크(Up-link): 지구국에서 위성까지의 채널이다. 지구국에서 위성으로 큰 전력을 사용하여 송신이 가능하므로 전파의 감쇠가 큰 고 주파수대를 사용한다. 하향 링크(Down-link): 위성으로부터 지구국..

정보통신개론 10 - 1 이동통신

용어체크 1. 무선통신 지구 대기에서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를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방식이다. 2. 이동통신 움직이는 대상과 이동하는 물체 상호 간에 발생하는 무선통신, 이동통신이라고도 하고, 고정통신과 반대되는 개념이다. 3. 셀룰러이동통신 셀룰러(Cellular): 서비스 지역을 작은 구역인 셀(Cell) 여러 개로 나누는 방식으로 아날로그 셀룰러시스템과 디지털 셀룰러시스템이 있다. 아날로그 셀룰러시스템은 전체 서비스 지역을 소규모의 서비스 영역인 셀로 분할한 후 각 셀에서 사용할 무선 채널을 할당한다. 하나 이상의 셀에 기지국(BS)을 두고, 이 기지국을 이동통신교환기(MSC) 와 연결하고, 교환기는 공중 교환 전화망(PSTN)으로 연결하고, 모든 셀은 동일 주파..

정보통신개론 9 - 2 인터넷계층별(TCP/IP)프로토콜

용어체크 1. 네트워크 접근 계층 프로토콜 네트워크 접근 계층은 네트워크 매체와 인터페이스에서 하드웨어의 세부사항을 처리하며, 상위 계층의 데이터를 수용하여 연결된 다른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의 디바이스 드라이버처럼 하드웨어 관련 프로그램이 있다. 2. 인터넷 계층 프로토콜 인터넷 계층은 발신지에서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일을 한다. 주소 지정, 패키징(Packaging), 라우팅(Routing)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전달 되는 데이터를 데이터그램이라고 함) 3. 전송·응용 계층 프로토콜 전송 계층: 신뢰성과 안정성 보장한다. 응용 계층: TELNET :원격 로그인을 위한 일반적인 인터넷 응용 프로그램, 사용자가 원격지 서버에 연결하여 자신의 로컬 호스트처럼..

정보통신개론 9 - 1 인터넷

용어체크 1. 인터네트워킹 근거리 통신망(LAN) 간 또는 근거리 통신망(LAN)과 광역 통신망(WAN) 간에 상호 접속하여 형성된 광역화된 네트워크 집합이다. 관련 장비로는 리피터, 브리지, 라우터, 게이트웨이 등이 있다. 2. 인터넷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인터네트워크이다. 인터네트워킹으로 구성된 대표적인 네트워크가 바로 인터넷(Internet)이다. 3. 도메인 영문자 및 마침표를 혼합해 주소를 표현하는 것이다. 국가는 최상위 도메인, 기관은 서브 도메인이라고 한다. 도메인명의 길이는 최대 256자까지 가능하다. 도메인명은 숫자(0~9)나 영문자(A~Z), 영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쉼표)나 _(언더바) 등은 사용할 수 없음, -(하이픈)은 사용 가능하다. 전 세계적으로 중복되..

정보통신개론 7 - 2

용어체크 1. BcN BcN :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광대역 통합 네트워크이다. 통신, 방송, 인터넷 같은 각종 서비스를 통합하며,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쉽게 개발할 수 있는 개방형 플랫폼(Open API)에 기반을 둔 차세대 통합 네트워크이다. 2. USN USN : Ubiquitous Sensor Network,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이다. USN은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해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현하는 것이 목적인 기술이다. Ubiquitous : 어느 곳(사물)에나 부착된 태그나 센서로부터 Sensor : 사물 및 환경 정보를 감지, 저장, 가공, 전달하여 Network : 인간 생활에 폭넓게 활용하는 네트워크이다. 3. 무선메시 네트워크 기존 무선 LAN의 한계를 ..

정보통신개론 7 - 1 고속광역통신망

용어체크 1. DQDB DQDB(Distributed Queue Dual Bus)는 MAN에서 사용하는 IEEE802 계열의 표준 프로토콜로 논리적 이중 버스로 구성해 데이터를 각기 다른 방향으로 전송한다. DQDB는 1980년대 호주의 한 대학생이 아이디어를 제시하면서 등장했다. (LAN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분산된 LAN을 상호 접속할 필요성이 늘어났기 때문) 2. 프레임 릴레이 패킷 교환망에서 데이터 링크 계층의 패킷을 중계하며, 각각 다른 채널로 사용자 정보와 호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프로토콜이다. 고속의 대용량 서비스와 광역의 데이터 교환 서비스가 가능하며, 1.5~2Mbps 속도로 패킷을 변환하여 전송한다. 3. B-ISDN B-ISDN(Broadband-Integrated Service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