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39

컴퓨터시스템 14 - 2 중복 삭제/필드 자르기와 파일 연결하기/파일 덤프

용어체크 1. 출력 리다이렉션 유닉스에서 제공하는 출력 리다이렉션에는 >과 >>가 있음 >: 기존 파일의 내용을 삭제하고 새로 결과를 저장 >>: 기존 파일의 내용 뒤에 결과를 추가 2. 표준 입출력 입출력을 위한 파일이나 주변 장치를 특별히 지정하지 않았을 경우에 사용 일반적으로 표준 입력은 키보드를 통한 입력이며, 표준 출력은 단말기 화면(모니터)의 출력임 학습내용 1. 중복 삭제 2. 필드 자르기와 파일 연결하기 3. 파일 덤프 학습목표 1. uniq 명령을 이용하여 파일이나 키보드에서 입력받는 내용 중 중복된 내용을 삭제할 수 있다. 2. cut과 paste 명령어를 이용하여 파일의 각 행에서 선택된 필드를 잘라내고, 사용자가 지정한 파일의 내용을 붙일 수 있다. 3. dd 명령을 이용하여 입력한..

컴퓨터그래픽 14 - 2 곡면과 스케치업 사실감 표현하기

용어체크 1. 스플라인 곡면 곡면은 평면의 집합으로 근사화 됨 다양한 분할을 이용하여 평면으로 구분 스플라인 곡선의 확장 2. 공간곡선 (Space Curve) 3차원 곡선 3. 2차 곡면 (Quadric Surfaces) 각 축에 대한 2차 함수로 표현 학습내용 1. 스플라인 곡면 2. 2차 곡면 3. 스케치업 텍스처 4. 스케치업 애니메이션 스케치업 텍스처 입히기 스케치업 애니메이션 사용하기 학습목표 1. 스플라인 곡면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2. 2차 곡면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3. 스케치업에서 텍스처를 입힐 수 있다. 4. 스케치업에서 애니메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 2차 곡면의 장점은 무엇일까요? 어떤 점이 표면상에 존재하는지 검증하기가 쉽습니다. 𝑥, 𝑦 좌표만 주어졌을 때 𝑧좌표를 계..

정보통신개론 14 - 2 최신정보통신 기술과 서비스 2

용어체크 1. 빅데이터 굉장히 많은 양의 데이터에서 빠르게 정보를 추출 및 분석하여 가치 있는 정보를 발견하는 기술이다. 다루는 데이터는 어마어마한 대량의 정형 또는 비정형 데이터이다. 대규모 데이터의 수집·저장·관리·분석 기술이 필요하다. 2. 5G 이동통신 4세대 이동통신(LTE)보다 1,000배 빠른 기술이다. 2020년에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5G를 통해 실현될 핵심 서비스는 사물인터넷(IoT)이다. 3. 사물인터넷 각종 사물에 컴퓨터 칩과 통신 기능을 내장해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사물끼리 정보를 주고받기 위하여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있는 사물 공간 연결 망이다. 학습내용 빅데이터 컴퓨팅 기술과 서비스 5G 이동통신 기술과 서비스 사물인터넷 기술과 서비스 학습목표 빅데이터 컴퓨팅..

인터넷활용 14 - 2 자료 관리 서비스

용어체크 1. 블로그 웹 게시판과 개인 홈페이지가 결합된 형태의 사이트로 관심사에 따라 일기, 컬럼, 기사 등의 게시 가능 2. 파워블로거 문화, 예술 분야에서 요리, 인테리어까지 다양한 분야에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사용자들에게 유익한 정보와 다양한 노하우를 제공하는 매우 우수하고 가입자가 많은 블로그 운영자 3. GitHub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공유하고 협업하여 개발할 수 있는 버전 관리 시스템인 깃(Git)에 프로젝트 관리 지원 기능을 확장하여 제공하는 웹 호스팅 서비스 학습내용 1. 블로그/카페 2. GitHub를 이용한 페이지 등록 블로그/카페 개설하기 GitHub 개설하기 학습목표 1. 블로그/카페를 개설하는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2. GitHub를 이용하여 작성한 웹페이지 호스팅 하는 ..

시스템프로그래밍 14 - 2 운영체제2

용어체크 1. FCFS(선입선처리) 먼저 도착한 요청을 먼저 서비스하는 디스크 스케줄링 방법이다. 2. SSTF(최소 탐색 우선) 탐색 거리가 가장 짧은 요청을 먼저 서비스하는 디스크 스케줄링 방법이다. 3. C-SCAN(순환 스캔) 안쪽과 바깥쪽의 차별 처리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항상 바깥쪽 실리더에서 안쪽으로 움직이면서 가장 짧은 탐색 시간을 가지는 요청을 서비스 하는 디스크 스케줄링 방법이다. 학습내용 주기억장치 관리 주변장치 관리 파일 관리 학습목표 주기억장치 관리를 위한 다양한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주변장치와의 입출력 관리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파일의 속성과 형태, 관리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운영체제는 컴퓨터 하드웨어와 사용자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해주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다..

디지털공학개론 14 - 2 프로그래머블 논리장치(PLD)

용어체크 1. PROM (Programmable ROM) 디코더의 역할을 하는 고정 AND배열과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OR배열로 구성되어 있음 2. PLA (Programmable Logic Array) PROM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개발된 소자로, AND입력과 OR입력 양쪽을 모두 프로그래밍할 수 있으므로 가장 융통성 있게 프로그래밍할 수 있음 3. GAL (Generic Array Logic) 여러 가지 PLD 중 가장 최근에 개발된 소자로 PAL과 마찬가지로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AND배열과 고정 OR배열 및 출력 논리로 구성되어 있으나, GAL은 다시 프로그래밍할 수 있고, 출력 논리도 프로그래밍이 가능함 학습내용 1. PLD의 개념 2. VHDL의 개념 3. VHDL로 조합논리회로 구현 학습목표..

네트워크 14 - 2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각종 서버

용어체크 1. TFTP 서버 TFTP 서버는 라우터나 스위치의 운영체제를 백업하거나 복구, 또는 네트워크 장비의 설정을 저장하거나, 저장된 내용을 가져오는 용도로 사용된다. FTP도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이지만, TFTP가 FTP보다 더 단순한 방식으로 파일을 전송한다. 또한 TFTP는 FTP 처럼 복잡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구현이 간단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2. Syslog 서버 네트워크 장치에 이벤트가 발생하면 그 이벤트를 자동으로 Syslog 서버로 전송하게 하여, 네트워크 관리자가 손쉽게 네트워크 장비의 이벤트 로그를 볼 수 있도록 한다. 3. NTP 서버 네트워크 장치 중, 한 장치에 NTP 서버를 구성하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모든 장치들의 시간을 NTP ..

C언어 14 - 2 구조체 활용

용어체크 1. 간접 멤버 연산자 (indirect membership operator) 구조체 포인터변수를 이용한 구조체 멤버 접근을 위해 사용되는 연산자 2. 공용체 (union) 같은 메모리 영역을 여러 개의 변수가 공유 메모리 절약(가장 큰 멤버의 크기만큼 할당) 동시에 모든 멤버 변수들의 값을 저장할 수 없음 3. 열거형 (enumeration) 변수가 가질 수 있는 기호상수들을 모아놓은 자료형 프로그램의 이해도 향상, 오류 줄여줌 학습내용 1. 구조체와 포인터 2. 구조체와 함수 3. 공용체 구조체 활용 실습 학습목표 1. 구조체와 포인터를 알고, 사용할 수 있다. 2. 구조체와 함수를 알고, 사용할 수 있다. 3. 공용체를 알고, 사용할 수 있다. 열거형을 사용하는 이점은 무엇일까요?가질 수 ..

컴퓨터그래픽 14 - 1 스플라인과 스케치업 확장

용어체크 1. 스플라인 (Spline) 다항식으로 표현되는 곡선 2. 보간 스플라인 (Interpolating Splines) 제어점을 반드시 통과하는 스플라인 3. 근사 스플라인 (Approximating Splines) 제어점을 반드시 통과하지는 않으며, 제어점은 곡선을 끌어당기는 역할을 함 학습내용 1. 스플라인 개요 2. 스플라인 곡선 3. 스케치업 Protractor 4. 스케치업 Solid Tools 스케치업 Protractor 사용하기 스케치업 Solid Tools 사용하기 학습목표 1. 스플라인의 종류와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2. 스플라인 곡선의 표현과 그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3. 스케치업에서 Protractor 기능을 사용하여 모델링할 수 있다. 4. 스케치업에서 Solid To..

정보통신개론 14 - 1 최신정보통신 기술과 서비스 1

용어체크 1. 유비쿼터스 라틴어 유비크(Ubique)에서 나온 용어로, ‘언제 어디서나 동시에 있다’는 뜻이다. 모든 사물에 칩을 넣어 어느 곳에서든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컴퓨팅 환경이다. 2. 그린 IT 저탄소 녹색성장의 기반 기술 중 하나가 IT인데, 이것을 그린IT(Green IT) 라고 한다. 3. 클라우드 컴퓨팅 개인의 컴퓨터나 기업의 응용 서버 등이 대규모의 컴퓨터 집합을 클라우드(Cloud of Computers)로 옮겨간 형태의 네트워크이다. 각종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를 인터넷과 연결된 중앙 컴퓨터에 저장 필요할 때마다 컴퓨터나 스마트폰 같은 단말기로 접속하여 데이터를 내려받아 사용하고 다시 업로드하는 방식이다. 사용 목적에 따라 공용 클라우드와 사설 클라우드로 나뉜다. 학습내용 유비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