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체크
1. 라우팅 프로토콜(Routing Protocol) : 라우터가 패킷을 전달할 때 가장 기본적으로 참조하는 프로토콜이며, 이 프로토콜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라우터는 자신과 직접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가 아닌 다른 네트워크로 패킷을 전달하지 못한다. 라우팅 프로토콜은 한 가지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가 존재하며, 어떠한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라우터가 패킷을 보내는 경로가 틀려질 수 있다.
2. 정적 라우팅(Static Routing) : 정적 라우팅은 라우터에 라우팅 테이블 구성을 자동이 아닌 수동으로 설정하는 방식이다. 모든 네트워크에 대한 경로 설정을 수동으로 해야 하는 단점이 있지만, 라우터의 자원을 가장 적게 사용하는 라우팅 방식이기도 하며,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3. 동적 라우팅 (Dynamic Routing) : 동적 라우팅은 라우터에 라우팅 테이블 구성을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식으로, 우회 경로를 자동으로 찾기 때문에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요소인 가용성을 높여주는 프로토콜이다. 그러나 정적 라우팅보다 라우터의 자원을 많이 사용한다는 단점이 있다.
학습내용
|
1.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
2.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
3. 동적 및 정적 라우팅 프로토콜
연습문제
Quiz 01라우팅 테이블이 없으면 라우터는 패킷을 전달할 수 없다.
- 1 O
- 2 X
정답 :1
해설 :라우터는 패킷을 전달하기 위하여 라우팅 테이블만 참조합니다. 따라서 라우팅 테이블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어디로 패킷을 전달해야 할지 모르기 때문에 패킷을 전달할 수 없습니다.
Quiz 02RIP의 AD값은?
- 1 90
- 2 100
- 3 110
- 4 120
정답 :4
해설 :RIP의 AD 값은 120 입니다.
Quiz 03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의 특성과 거리가 먼 것은?
- 1 255.255.255.255 주소를 사용하여 자신의 라우팅 정보를 전송한다.
- 2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 3 RIP은 30초 마다 자신의 정보를 이웃 하는 장치 에게 전송한다.
- 4 소규모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정답 :2
해설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은 주로 소규모 네트워크에 사용됩니다.
학습정리 1. Distance Vector 라우팅 프로토콜(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
2. Link State 라우팅 프로토콜(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
3. Dynamic and Static 라우팅 프로토콜
|
'컴퓨터공학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6 - 1 RIPv1과 RIPv2 설정 (0) | 2021.09.30 |
---|---|
네트워크 5 - 2 실습토폴로지 구성 및 Static 설정 (0) | 2021.09.26 |
네트워크 4 - 2 라우터 및 스위치 기본 설정2 (0) | 2021.09.26 |
네트워크 4 - 1 라우터 및 스위치 기본 설정1 (0) | 2021.09.26 |
네트워크 3 - 2 패킷트레이서를 활용한 토폴로지 구성 (0) | 2021.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