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공학/네트워크

네트워크 6 - 1 RIPv1과 RIPv2 설정

Arkeiyou 2021. 9. 30. 16:19

용어체크

 

1.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다이나믹 라우팅 프로토콜 중에서 가장 먼저 나오고 설정이 쉬운 라우팅 프로토콜로써 주로 소규모 네트워크에 사용한다. v1과 v2가 있으며, 라우팅 업데이트 시에 서브넷 전송 여부 및 보안 적용 여부 등에 따라 각 버전의 특징이 구분된다. UDP 520번을 사용하여 통신하고, Broadcast 및 Multicast를 사용하여 라우팅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

2. Debug

디버그 명령어는 라우터와 라우터 또는 라우터와 네트워크 장비가 주고 받는 패킷의 흐름을 볼 수 있는 명령어로써, 기본적으로 활성화는 되어 있지 않다. 라우터에 많은 부담을 주는 명령어 지만, 네트워크의 흐름에 대하여 자세한 정보가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

3. Passive-interface

라우터와 라우터는 라우팅 정보를 주고 받는 것이 의미가 있지만 라우터와 연결된 L2 스위치의 경우는 라우팅 정보를 받는다 하더라도 별로 의미가 없다. 따라서 브로드캐스트나 멀티캐스드 형태로 전달되는 라우팅 업데이트 정보를 보내지 않는 곳을 선언함으로써 이러한 데이터가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학습내용
  • RIPv1의 개념
  • RIPv2의 개념 및 RIPv1과의 차이점
  • RIPv2를 활용한 Full-Routing
학습목표
  • RIPv1의 개념에 관하여 설명할 수 있다.
  • RIPv2의 개념을 이해하고 RIPv1과의 차이점에 관하여 설명할 수 있다.
  • RIPv2를 활용하여 Full-Routing을 구성할 수 있다.

 

RIP → 립이라고 읽는다. RIPv1은 립 버전1, RIPv2는 립 버전2. 립은 Routing Information Protocol로서 디스턴스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이며, 라우팅 정보 전송을 위해서 UDP 520번을 사용한다. 설정이 간단하고 소규모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좋다(홉 카운트 Hop Count 15회까지만 지원)

 

립 버전1의 경우 : 목적지로 가는 경로 중에서 라우터를 가장 적게 거치는 경로를 선택한다. 가장 적은 홉 카운트를 가진 경로가 최적의 경로가 되는데, 네트워크 경로 결정 시 이와같이 라우터를 가장 적게 거치는 것을 기준으로 결정하며, 따라서 링크속도를 반영하지 않는다. 최대 홉카운트가 15, 즉 패킷이 라우터를 15번만 거칠 수 있기 때문에 대형 네트워크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풀라우팅 : Full-Routing, 토폴로지의 모든 디바이스가 서로 통신을 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립 버전1은 30초 주기로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을 이웃한 장치들에게 브로드캐스트(255. 255. 255. 255)한다. 복잡한 네트워크의 경우 라우팅 테이블을 주고받는 립의 특성으로 인해 상당한 오버헤드 트래픽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불필요하게 리소스를 많이 사용하게 된다.

 

립은 서브넷마스크 정보가 없는 클래스풀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 : 서브넷팅이란?

 

또한 VLSM을 지원하지 않는다. 

 

2. 립 버전2의 개념 및 립 버전1과의 차이점

 

립 버전2는 버전1과 달리 클래스리스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이는 네트워크 정보와 함께 서브넷마스크 정보도 함께 전달함을 의미한다. 또 다른 차이는 라우팅 정보의 전달을 위하여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사용하지 않고 멀티캐스트 주소인 224. 0. 0. 9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는 버전1보다 보안성이 강화되어 각 라우터에서 네트워크 경로 정보에 대한 인증을 할 수 있다. 나머지 내용은 버전1과 동일하다. 

 

립 버전2는 라우팅 경로에 대한 자동축약(오토서머리)을 사용한다. 이 기능이 필요없을 때는 수동 축약을 사용할 수 있고, no Auto-Summary 명령어를 사용하여 자동축약 기능을 해제할 수 있다. 

 

수렴 시간 : 컨버젼스 타임. 네트워크에 변화가 생길 경우 모든 라우터가 네트워크 변화 상태에 대해 정확하고 일관된 정보를 유지하는 것을 컨버젼스라고 말한다. 컨버젼스 타임은 네트워크에 변화가 생겼을 경우 그 변화된 정보를 서로 인식하고 수정하는 시간을 말하는데, 이는 당연히 라우팅 프로토콜 별로 달라진다. 컨버젼스 타임은 짧을수록 좋은데, 립의 경우 컨버젼스 타임이 30초로 매우 느리기 때문에 라우팅루프같은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스태틱 라우팅 프로토콜의 경우 직접 연결되어있지 않은 네트워크 주소를 일일이 설정해주어야 했지만, 립은 다이내믹 라우팅 프로토콜로 라우터와 직접 연결되어있는 네트워크 주소만 입력해주면 라우팅 테이블을 주고받으면서 서로간에 없는 경로를 업데이트해준다. 

 

 

 


연습문제

 

Quiz 01RIPv1과 RIPv2는 동작방식이 동일한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 1 O
  • 2 X

정답 :2

해설 :RIP이라고 하는 큰 틀에서는 동일한 라우팅 프로토콜이라고 볼 수 있지만, 동작하는 방식이 틀린 엄연한 다른 프로토콜입니다.

 

 

 

Quiz 02RIP이 사용하는UDP 포트 번호는 ?

  • 1 517
  • 2 518
  • 3 519
  • 4 520

정답 :4

해설 :RIP이 사용하는 UDP 포트는 520번 입니다.

 

 

 

Quiz 03RIPv2가 사용하는 멀티캐스트 주소는?

  • 1 224.0.0.8
  • 2 224.0.0.9
  • 3 224.0.0.10
  • 4 224.0.0.11

정답 :2

해설 :RIPv2가 사용하는 멀티캐스트 주소는 224.0.0.9 입니다.

 

 


학습정리

 

RIPv1의 개념

  • RIP은 v1과 v2가 있다.
  • Distance Vector 라우팅 프로토콜이며, 라우팅 정보 전송을 위해서 UDP 520번을 사용한다.
  • 설정이 간단하고 소규모 네트워크에 사용하기 좋다.(Hop Count 15까지만 지원)
  • 대규모의 네트워크 보다는 소규모의 네트워크에 적합하다.
  • 목적지로 가는 경로 중에서 라우터를 가장 적게 거치는 경로를 선택한다.

 

RIPv2의 개념 및 RIPv1과의 차이점

  • RIPv2는 Classless 라우팅 프로토콜이며, 네트워크 정보와 함께 서브넷 마스크의 정보도 함께 전달한다.
  • 라우팅 정보의 전달을 위하여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사용하지 않고 Multicast 주소인 224.0.0.9를 사용한다.
  • RIPv2와 RIPV1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RIPv1은 Classful 이지만, RIPv2는 Classless 이다.
    • RIPv1은 VLSM 및 서브넷팅을 지원하지 않지만, RIPv2는 지원한다.
    • RIPv1는 255.255.255.255 브로드캐스트를 하고 인증을 지원하지 않지만, RIPv2 는 224.0.0.9 멀티캐스트를 사용하고 인증을 지원한다.

 

RIPv2를 활용한 Full-Routing

  • RIPv1의 기본적인 설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Router>enableRouter(config)#router ripRouter(config-network)#network 네트워크 주소
  • → network 명령어로 라우터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주소를 입력
  • → 라우팅 프로토콜로 RIP을 사용할 것을 선언.
  • Router#conf t
  • show ip int brief 사용하여 RIP 라우터 인터페이스의 설정이 정상적으로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 RIPv2는 모든 설정 과정이 RIPv1과 같고, 단순히 Version 2 명령어만 추구하면 된다.
  • Passive-Interface로 설정된 네트워크 구역으로는 라우팅 정보를 보내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