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공학/디지털공학개론

디지털공학개론 9 - 1 조합논리회로의 개요

Arkeiyou 2021. 10. 14. 19:14

용어체크

1. 조합논리회로
(combinational circuit)

  • 논리곱(AND), 논리합(OR), 논리부정(NOT) 3가지의 기본 논리회로의 조합으로 현재의 입력값으로 출력값을 결정하는 회로

2. 조합논리회로 분석

  • 부울대수식, 진리표, 입・출력 신호 파형을 이용

 

학습내용
  • 1. 조합논리회로의 기본 구조
  • 2. 조합논리회로의 분석
  • 3. 조합논리회로의 설계
학습목표
  • 1. 조합논리회로의 개념과 구현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 2. 부울대수식, 진리표, 입출력 신호파형을 이용한 분석을 설명할 수 있다.
  • 3. 조합논리회로의 설계 목표와 절차를 설명할 수 있다.

 

 

1. 조합논리회로의 기본구조

 

1) 조합논리회로(combinational circuit)의 개념

 

조합논리회로 : 논리곱(AND), 논리합(OR), 논리부정(NOT) -> 3가지의 기본 논리회로의 조합이다. 입력을 받아 출력을 결정하는 회로를 말하는데, 입력신호들을 받는 즉시 조합하여 최종 출력을 발생시킨다.

 

cf. 순서(순차)논리회로(sequential circuit)

 

2) 다수의 입력신호 2개를 받아서 출력 2^n개를 생성한다. 가산기(adder), 비교기(comparator), 디코더(decoder : 복호화기), 인코더(encoder : 부호화기), 멀티플렉서(multiplexer : 데이터 선택기),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 : 데이터 분배기), 코드변환기

 

 

 

2. 조합논리회로의 분석

 

1) 부울대수식을 이용한 분석

 

모든 부울대수식은 논리회로로 표현할 수 있다.

 

①논리회로의 게이트 출력에 변수를 할당

②각 게이트의 입력변수들 -> 게이트 출력에 대한 부울함수를 구현

③ 2번과정을 최종출력에 도달할때까지 반복.

④임시변수들에 대한 표현을 대입 -> 최종 출력변수에 대한 완전한 부울함수를 구현

 

 

 

 


Quiz 01조합논리회로 설계의 절차상 순서는 “문제 설정 - 입・출력변수 정의 - 진리표 작성 - 부울대수간소화 - 논리회로 구현”이다.

  • 1 O
  • 2 X

정답 :1

해설 :조합논리회로 설계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설계자는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의 문제를 설정하여 블록도 같은 개념을 표현한다.
2. 입・출력 변수를 정의한다.
3. 입・출력관계를 분석하여 진리표를 작성한다.
4. 카르노맵을 이용하여 간소화된 부울대수를 유도한다.
5. 유도된 식으로 논리회로를 구성한다.

 

 

 

Quiz 02조합논리회로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 기억회로를 갖고 있다.
  • 2 입・출력을 갖는 게이트의 집합으로 출력값은 0과 1의 입력값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회로이다.
  • 3 반가산기, 전가산기, 디코더 등이 있다.
  • 4 출력함수는 한 개의 입력변수의 항으로 표시한다.

정답 :1

해설 :조합논리회로는 현재 입력에 따라 출력이 결정되는 논리회로를 말한다. 현재 입력뿐만 아니라 이전 입력의 영향 또한 함께 받는 순차논리회로와는 구별된다. 현재 입력만으로 출력이 결정되기 때문에 조합논리회로에는 기억장치가 쓰이지 않는다. 일반적인 조합논리회로에는 반가산기, 전가산기, 디코더 등이 있다.

 

 

 

Quiz 03다음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에서 각 출력에 대한 최소화식을 옳게 나타낸 것은?

  • 1 
  • 2 
  • 3 
  • 4 

정답 :3

해설 :회로구성에 대한 각 출력 X,Y에 대한 일반적인 논리식을 표현한다.

 

 


학습정리

1. 조합논리회로(combinational circuit)

  • 논리곱(AND), 논리합(OR), 논리부정(NOT) 3가지의 기본 논리회로의 조합으로 현재의 입력값으로 출력값을 결정하는회로
  • 부울대수식, 진리표, 입・출력 신호 파형을 이용한 분석을 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