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공학/네트워크

네트워크 3 - 2 패킷트레이서를 활용한 토폴로지 구성

Arkeiyou 2021. 9. 26. 16:31

용어체크

1. Serial Cable

Serial Cable은 라우터와 라우터가 연결되는 WAN 구간에 사용되는 케이블이며, 이 케이블을 사용하여 라우터와 라우터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HWIC-2T 또는 WIC-2T가 반드시 라우터에 장착되어 있어야 한다. Serial Cable은 DTE와 DCE로 나뉘어 지는데, DCE 구간에는 데이터 전송의 동기화를 위하여 반드시 Clock rate 값을 입력하여야 한다.

2. ICMP

ICMP는 곧 Ping을 의미하며, 이 명령어는 네트워크의 특정 장치가 올바르게 동작하고 있는지 아닌지 질의를 보내 응답을 받는 명령어로써, Echo Request(응답 요청)과 Echo Reply(응답)로 이루어져 있다. Ping을 보내서 응답이 안 왔다고 네트워크에서 특정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다고 단정 지을 수 없다. 이유는 방화벽에서 ICMP와 관련된 요청을 막아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3. 다이렉트 케이블 및 크로스 케이블

크로스 케이블은 OSI 7계층 기준으로 같은 계층에 속해 있는 장치가 연결될 때 사용하며, 다른 계층에 속해 있는 장치가 연결 될 때는 다이렉트 케이블을 사용하여 연결한다.

 

학습내용
  • 패킷트레이서 토폴로지 구성
  • 패킷트레이서 파일 저장 및 불러오기
  • 패킷트레이서의 여러 가지 기능
학습목표
  • 네트워크 장치를 사용하여 토폴로지를 구성할 수 있다.
  • 작성된 토폴로지의 저장 및 불러오기를 할 수 있다.
  • 패킷트레이서의 다양한 기능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1. 패킷트레이서 토폴로지 구성

 

1) 패킷트레이서 토폴로지 용어

 

     ICMP Ping : 에코 요청(Echo Request)와 에코 응답(Echo Reply)로 구성되며, 장치 간의 통신 상태를 테스트 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IP 주소 : 네트워킹 장치에 할당되는 32bit의 고유 주소로, IPv6도 지원하고 있다.

     이더넷(Ethernet) : 로컬 네트워크 상에서 2계층 하드웨어 통신을 위한 보편화된 표준

     패스트 이더넷(Fast Ethernet) : 100Mbps의 속도를 가지는 고속 이더넷을 가리킨다.

     OSI 모델 :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모델로 7개의 계층으로 구성되어있다.

     PDU : OSI 모델의 특정 계층에서 사용하는 고정된 크기의 데이터 단위

     패킷 : OSI 3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의미한다.

     디바이스 테이블 : ARP, 스위칭, 라우팅 테이블을 포함한다.

     ARP 테이블 : 이더넷의 MAC주소와 이와 연관되어있는 IP주소를 나타낸다.

 

 

 

 

3) 패킷트레이서 토폴로지 케이블의 종류

 

     콘솔 : PC와 라우터 또는 PC와 스위치 간의 콘솔 연결을 위해서 사용

     다이렉트 : OSI 계층에서 동작하는 서로 다른 계층의 장치를 연결할 때 사용한다.

     크로스 : OSI 계층에서 동작하는 서로 같은 계층의 장치를 연결할 때 사용한다.

     시리얼 DCE 및 DTE : 시리얼 연결은 WAN구간에서 WAN포트(HWIC-2T)를 사용하여 연결된다. DCE케이블의 경우 Clock Rate를 적용해주어야 한다.

 

 

 

 

 

 

 

 

2. 패킷트레이서 파일 저장 및 불러오기

 

 

 

 

 

3. 패킷트레이서의 여러 가지 기능

 

 

 

 

 

 


연습문제

 

Quiz 01패킷트레이서는 모든 네트워크 장비를 제공한다.

  • 1 O
  • 2 X

정답 :2

해설 :안타깝게도 모든 네트워크 장비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OSI 7계층 기준으로 라우터 스위치 등의 일부 장치만 지원하고 있습니다.

Quiz 02PC와 라우터의 연결을 위해 사용하는 케이블은?

  • 1 콘솔 케이블
  • 2 광 섬유 케이블
  • 3 DCE 케이블
  • 4 DTE 케이블

정답 :1

해설 :콘솔 케이블은 PC와 라우터의 연결을 위해 사용하는 케이블입니다.

Quiz 03다이렉트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는?

  • 1 스위치와 PC를 연결할 경우
  • 2 PC와 PC를 연결할 경우
  • 3 스위치와 스위치를 연결할 경우
  • 4 라우터와 Server를 연결할 경우

정답 :1

해설 :스위치와 PC가 연결될 경우에는 다이렉트 케이블을 사용하여야 합니다.

 

 

학습정리

1. 패킷트레이서 토폴로지 구성
  • 패킷트레이서는 GUI 환경을 통해 라우터, 스위치 등의 장치를 작업 공간에 배치한다.
  • 필요한 장치를 선택하여 마우스를 사용하여 Drag and Drop을 통해 장치 배치한다.
  • 네트워크 장치를 작업 공간에 배치하고 그 다음으로 케이블을 통해 장치를 연결한다.

2. 패킷트레이서 파일 저장 및 불러오기
  • 패킷트레이서 파일 저장은 패킷트레이서의 주 도구 막대, 메뉴 막대, 단축키를 활용하여 파일을 저장한다.
  • 패킷트레이서 파일 불러오기는 패킷트레이서의 주 도구 막대, 메뉴 막대, 단축키를 활용하여 파일을 불러온다.

3. 패킷트레이서의 여러 가지 기능
  • 클러스터 : 작업 영역에 많은 장치들이 있으면 그 장치들을 간단히 줄여서 보여주는 기능이다.
  • 배경화면 설정 : Set Tiled Background 버튼 눌러 배경 선택 후 Apply한다.
  • 뷰포트 : 토폴로지의 크기와 상관 없이 모든 장치의 구성도를 한 번에 본다.
  • 사용자 지정 아이콘 변경 : 패킷트레이서에서 사용되는 장치의 아이콘을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