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체크
1. 메모리
- 2진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한 부분
- 컴퓨터에서 메모리는 초당 수백만 번 사용되므로 속도와 정확성이 중요하게 요구됨
2. RAM
(Random Access Memory)
- 선택된 주소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또는 선택된 주소의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읽기 / 쓰기 메모리
3. RAM
(Random Access Memory)
- 영구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데이터를 읽을 수는 있으나 특수한 장비가 없이는 내용을 수정할 수 없음
학습내용
|
메모리용량이 1024X8 이라고 할 때 MAR과 MBR은 각각 몇 비트일까요?1024X8=210X8, MAR=10비트, MBR=8비트입니다. MAR은 메모리 주소 라인수와 같고, 주소 버스입니다. MBR은 데이터 라인 수와 같고, 데이터 버스이며, 워드입니다.
Quiz 01휘발성 메모리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 메모리는 RAM이다.
- 1 O
- 2 X
정답 :1
해설 :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일정한 시간이 지나거나 전원이 꺼지면 저장된 내용이 지워지는 메모리형태이다.
Quiz 02다음 중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 현재 실행 중인 명령의 내용을 기억하는 레지스터이다.
- 2 기억장치에 출입하는 데이터의 주소를 기억하는 레지스터이다.
- 3 기억장치에 출입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버퍼 레지스터이다.
- 4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기억하는 레지스터이다.
정답 :3
해설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MBR: Memory Buffer Register)는 레지스터와 외부 장치 사이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통로이다. 즉, 메모리에 쓰인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내부 제어 MBR의 내용을 지정된 주소의 메모리에 저장하며, 읽기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내부 제어는 지정된 메모리의 내용을 MBR로 전송한다.
Quiz 03다음 중 SRAM과 DRAM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 1 DRAM은 SRAM에 비해 속도가 빠르다.
- 2 SRAM은 재충전이 필요 없는 메모리이다.
- 3 SRAM의 소비전력이 DRAM보다 낮다.
- 4 DRAM의 메모리 셀은 플립플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 :3
해설 :SRAM과 DRAM은 기억방식에 따라 분류된다.
SRAM: 일반적으로 2진 정보를 저장하는 내부 플립플롭으로 구성되며, 저장된 정보는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보전된다. DRAM에 비해 사용하기 쉽고 읽기와 쓰기 사이클이 더 짧다.
DRAM: 2진 정보를 커패시터에 공급되는 전하 형태로 보관한다. 그러나 커패시터에 사용되는 전하는 시간이 경과하면 방전되므로 일전한 시간 안에 재충전(refresh)해야 한다. 재충전은 수백분의 1초마다 주기적으로 행한다. SRAM에 비해 전력소비가 적고 단일 메모리칩에 더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학습정리
SRAM: 일반적으로 2진 정보를 저장하는 내부 플립플롭으로 구성되며, 저장된 정보는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보전된다. DRAM에 비해 사용하기 쉽고 읽기와 쓰기 사이클이 더 짧다.
DRAM: 2진 정보를 커패시터에 공급되는 전하 형태로 보관한다. 그러나 커패시터에 사용되는 전하는 시간이 경과하면 방전되므로 일전한 시간 안에 재충전(refresh)해야 한다. 재충전은 수백분의 1초마다 주기적으로 행한다. SRAM에 비해 전력소비가 적고 단일 메모리칩에 더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학습정리
1. 메모리
- 2진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한 부분
- 컴퓨터에서 메모리는 초당 수백만번 사용되므로 속도와 정확성이 중요하게 요구됨
- 현재 가장 빠른 반도체 메모리는 1Giga Byte이상의 모듈 형태로 출시되고 있음
- 대용량의 메모리 모듈도 작은 단위의 메모리와 동작 원리는 동일함
2. 메모리의 쓰기동작
- 주소레지스터 101은 주소버스에 실리며 주소디코더에 의해 주소 5가 선택됨
- 데이터 바이트 10001101가 데이터 버스에 실림
- 쓰기 명령은 데이터 바이트를 주소 5에 저장하도록 하며 이전 데이터는 교체됨
3. 메모리의 읽기동작
- 주소레지스터 101은 주소버스에 실리며 주소 디코더에 의해 주소 3이 선택됨
- 읽기 명령이 전달됨
- 주소 3의 내용이 데이터 버스에 실리고 데이터 레지스터로 이동됨
- 주소 3의 내용은 읽기 동작에 의해 지워지지는 않음
4. RAM(Random Access Memory)
- 선택된 주소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또는 선택된 주소의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읽기 / 쓰기 메모리
5. ROM(Read Only Memory)
- 영구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데이터를 읽을 수는 있으나 특수한 장비가 없이는 내용을 수정할 수 없음
'컴퓨터공학 > 디지털공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공학개론 14 - 2 프로그래머블 논리장치(PLD) (0) | 2021.11.29 |
---|---|
디지털공학개론 13 - 2 동기식 카운터와 카운터의 설계 (0) | 2021.11.20 |
디지털공학개론 13 - 1 비동기식 카운터 (0) | 2021.11.15 |
디지털공학개론 12 - 2 기타 시프트 레지스터 (0) | 2021.11.14 |
디지털공학개론 12 - 1 기본 레지스터 (0) | 2021.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