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체크
1. 무선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는 OSI 7 Layer 기준으로 1계층과 1계층의 연결이 무선으로 된 구간을 말한다. 무선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에 비해 장점이 많은데, 복잡한 회선 공사를 할 필요가 없어 비용 절감이 많이 되고, 유동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무선 네트워크의 특성상 네트워크의 범위를 정확하게 정할 수 없다는 점과 보안에 취약 하다는 점은 큰 단점이라 할 수 있다.
2. CSMA/CA
무선 장치가 전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방식이다. 유선의 경우는 CSMA/CD를 사용한다. CA는 Collision Avoidence의 약어이며, 자신의 프레임을 전송하기 이전에 무선 체를 확인하고, 이 매체에서 프레임이 전송되고 있는지를 먼저 확인 한 후, 특정 시간을 대기한다. 특정 대기 시간을 대기 한 후에도 프레임이 전송되지 않으면 그때서야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식이다.
3. 무선 라우터
무선 라우터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장치들의 DHCP 역할을 같이 수행해서 무선 장치 들에게 IP 주소를 제공한다.
학습내용
|
무선 랜은 보안상의 여려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데요. 왜 계속해서 사용하고 있나요?
무선 랜은 정말 편리한 네트워크 이지만 보안상의 문제점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보안상의 문제점을 완전히 없애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럼에도 무선 랜이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편리성 때문이기도 하지만, BAN이나 PAN 환경에서도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외부의 침입에 대한 염려가 생각보다는 많지 않습니다. 또한 각종 보안 설정을 통해 아무나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술들이 계속 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특히나 요즘은 무선 라우터가 전파를 인식해서 많이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를 자동으로 잡아주는 기능까지 나왔습니다. 그래서 예전 처럼 간섭이나 혼선 없이 무선 네트워크의 환경이 점차 좋아지고 있습니다. 보안도 마찬가지로 무선 랜 보안을 더 발전시키면서 무선 랜의 비중이 점차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1 O
- 2 X
- 1 CSMA/CA
- 2 CSMA/CD
- 3 CSMA/CF
- 4 CSMA/CR
- 1 3.4Ghz 대역
- 2 빠르고 넓은 범위
- 3 동일 대역 대의 간섭에 약함
- 4 54Mbps의 전송률
무선 네트워크 특징
- 오늘날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물리적 회선을 보면, 무선 보다 유선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그 비율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 OSI 7 계층을 기반으로 Layer1에서 Layer2로 연결되는 회선이 유선이면 유선 네트워크가 되는 것이고 이 구간이 무선을 사용하면 무선 네트워크가 되는 것이다.
- 무선 랜의 범위는 OSI 기반으로 Layer1에서 Layer2까지의 구간을 의미한다.
- 네트워크의 규모를 설명할 때 LAN, MAN, WAN으로 설명하지만, 최근 무선 랜이 활성화 된 이후에 BAN, PAN과 같은 개념이 생겼다.
- BAN (Body Area Network)은 몸에 부착된 정보화 기기와 핸드폰이 수신하는 범위의 무선 네트워크이다.
- PAN (Personal Area Network)은 핸드폰과 노트북이 상호 테더링이 가능한 범위의 무선 네트워크이다.
무선 라우터 설정
- 무선 라우터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지만 패킷트레이서에서 지원하는 WRT300N을 사용한다.
- 실제 WRT300N 장비도 패킷트레이서와 동일한 환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 무선 라우터 또는 AP(Access Point)가 토폴로지에 들어가면 해당 장치를 기준으로 Network 구간과 Internet 구간으로 나뉘어지게 된다.
- Network 구간은 실제 무선 장치들이 연결되는 네트워크 구간으로써, 무선 라우터나 AP가 DHCP 서버의 역할도 병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구간의 경우 각 장치에 할당되는 IP 주소는 공인 IP 주소 보다는 사설 IP 대역 주소를 사용한다.
- Internet 구간은 외부와 연결되는 구간을 의미하며, 이 구간의 경우에는 사설 IP 대역을 사용하지 말고 공인 IP 대역을 사용하여 구성한다.
유·무선 네트워크 통합
- 유·무선 네트워크 토폴로지 설계
- 무선 네트워크의 구성은 내부 사용자를 위한 무선 및 외부 사용자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를 따로 구축하여야 한다.
- 외부 사용자의 트래픽이 내부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네트워크가 설계될 필요성이 있다.
- 위와 같이 트래픽을 나누기 위하여 L2 스위치에 VLAN을 적용한다.
'컴퓨터공학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12 - 1 네트워크 보안을 위한 접근제어 목록 1 (0) | 2021.11.14 |
---|---|
네트워크 11 - 2 인증 서버 구성 (0) | 2021.11.14 |
네트워크 9 - 2 inter-VLAN (0) | 2021.11.14 |
네트워크 10 - 2 STP(Spanning Tree Protocol) (0) | 2021.10.27 |
네트워크 10 - 1 VTP(VLAN Trunking Protocol) (0) | 2021.10.24 |